[TIL 항해 10일 차] 미니프로젝트 2일 차 ( 일기 )
·
카테고리 없음
끝을 맺기를 처음과 같이 하면 실패가 없다. - 노자 시작과 끝의 짝짝꿍을 보여주마. 미니프로젝트 2일 차 되게 아쉬운 하루였다. 길게 달린 것 치고 집중의 시간이 짧았달까... 집중을 못하고, 질보다 양으로 가다보면 부담감과 함께, 피로감도 쌓여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집중하는 시간을 더 길게 늘리기 위한 연습도 부단히 해야할 것 같다고 느낀다. 무엇보다... 오늘하겠다고 한 일을 내일로 미루지 않을 정도의 집중력은 빠르게 확보하자. 협업은 어려워... 말 그대로 협업은 너무 어려운 것 같다. 당연한 말을 뭐 이렇게 대단하다는 듯이 하냐?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꽤나 다양한 측면에서의 어려움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난이도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당연지사. 거기에 더해 팀원들과 템포..
[TIL 항해 9일 차] 미니 프로젝트!!! ( feat. 회원가입 )
·
카테고리 없음
미니 프로젝트 2일 차!!! 회원가입 페이지를 맡기로 했다! 다른 기능을 구현하고 싶었지만(예를 들어 JWT?) 다른 팀원과 겹치게 되어서, "음... 회원가입을 사전 프로젝트 때 구현하면서 아쉬운점이 많았으니 보완해볼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양보를 하게 되었다! 일단 오늘의 결과물!! 사전 프로젝트 때 아쉬웠던 부분 가장 크게 아쉬웠던 부분 각 중복체크에 관한 부분 (아이디, 닉네임, 이메일) 아쉬웠다. 그때는 어떻게든 일단 회원가입이라은 기능을 껍데기로나마 완성을 시켜야지라는 생각으로 코드를 치다보니 중복확인 버튼을 한 번 눌러 사용가능하다는 서버의 response를 받으면 그 값이 고정되어, 중복된 아이디로 수정을 하여도 회원가입이 되었다. (가입가능한 아이디로 중복확인 통과 -> 중복된 아이디로..
[TIL 항해 8일 차] GIT, GIT-HUB, SOURCE TREE
·
카테고리 없음
버전관리 Git은 어떻게 버전관리를 할까? Git은 '누가, 언제,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가 어떤지(현재 파일 내용들)' 세 가지 정보를 포함해 작업내역을 관리한다. 버전 관리 : 누가, 언제, 현재 프로젝트의 내용이 어떤지 정보를 남긴다는 것. 언제,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상태를 정리하는 것. commit(커밋)은 무엇일까? Git은 커밋을 통해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하고 조회한다. 스냅샷을 찍듯이, 현재 프로젝트의 전체 상태를 포착해서 저장한다. commit :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 Git 이 이전 commit을 알고 있으므로 자동으로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알려준다. 누가, 언제, 어떤 부분을 바꾸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뭐가 바뀌었는지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한다. git ..
[TIL 항해 8일 차] 본 과정 START
·
카테고리 없음
본 과정 START!!! 본 과정이 드디어 시작됐다!!! 새로운 조원들과 인사나누고, 첫 미니프로젝트 돌입👏 3번 째 조편성만에 처음으로 조원으로써 팀에 속하게 되었는데, 나의 부족함을 느꼈다. 팀과 협업하며 하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게 밖에서 잘 떠들고, 잘 노는거랑은 다르구나...라고 피부로 느낀 날😵 더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1주차 미니프로젝트 5조 화이팅!!! JWT 특강 사전스터디 프로젝트를 하면서 해내지 못해서 가장 아쉬웠던 JWT 토큰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 특강을 들었다!!! 되게 좋았다. 일전에 고민을 해본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강사님의 좋은 설명과 더불어 시너지가 나서 되게 이해가 잘되고, 활용해서 구현하고 싶은 기능들이 마구마구 떠올랐다.💥 이번 미..
[TIL 항해 7일 차] 백준 10950번
·
카테고리 없음
10950번: A+B - 3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반성하자... 나에게 주어진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 조차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서 하루가 넘게 이 문제를 못 풀었다... 주어진 조건에 대해서 꼼꼼하게 분석하기. 간단한 문제 분석도 제대로 못하면, 앞으로 문제 절-대 못 푼다. 정신 차리자 형준아!!!!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놓치고 아예 잘 못 이해해서, 값이 하나가 들어오면 계산하지 않고 다음 값을 받는 걸로 이해했다... 첫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를 정해주는 숫자를 받는 것이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
[WIL 항해 0주 차] PRE-ONBOARDING 회고
·
카테고리 없음
항해의 시작을 알리는 PRE-ONBOARDING 주 차가 끝났다! 나의 WIL 은 한 주를 되돌아보며 반성, 그리고 나 스스로를 응원해주는 글이 될거다~ TIL 쓸 줄 몰라서 너무 교과서가 되다보니깐... 이렇게라도 스스로를 되돌아봐야해. 월~수, 그리고 목(?)요일 정도는 살짝 김형준 치고는 선방했다고 생각한다. 고민도 많이 해보면서 나름(?) 알차게 공부했다. 그래도 절대 만족하지마 하지만, 목요일 쯔음부터 뭔가 생각이 많아지면서 버벅거리기 시작하더니, 언어구사도 제대로 못할 만큼 사람이 멍청해져 있었고, 집중력도 바닥을 치기 시작했다... 컴퓨터 앞에는 하루종일 앉아있었는데, 공부한 내용은 새발의 피인것 같은 느낌이랄까... 일단 시작하는 주부터 텐션이 느슨해진 것에 대해서는 스스로 컨디션 관리가 ..
[TIL 항해 6일 차] 기본형 매개변수 & 참조형 매개변수, 참조형 반환타입
·
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역대급 늦장 부린 날... 다음 주 부터 본 과정 시작!! 정신 똑바로 차리고, 나의 부족을 인지한 만큼 그보다 더 열심히 하자. 시작에 앞서 매개변수가 뭘까? 💻 매개변수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s) 매개변수는 메소드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를 의미하고, 인수는 메소드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을 의미한다. 기본형 매개변수 - 변수의 값을 읽기만 할 수 있다.(read only) 참조형 매개변수 - 변수의 값을 읽고 변경할 수 있다.(read & write) 기본형 매개변수 Class Data { int x; } class Ex6_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ata d = new Data(); d.x = ..
[TIL 항해 5일 차] Array.sort()
·
카테고리 없음
2480번: 주사위 세개 1에서부터 6까지의 눈을 가진 3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상금을 받는 게임이 있다. 같은 눈이 3개가 나오면 10,000원+(같은 눈)×1,0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같은 눈이 2개 www.acmicpc.net 어떻게 하면 2480문제를 더 간단하게 깔끔하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다른 사람의 풀이 코드를 보고 Array.sort() 라는 기능을 찾았다! 이렇게 또 하나 배워갑니다!!! 🌈 Array.sort() 사용법 int 배열 정렬 (오름차순, 내림차순) int[] arr = { 1, 4, 3, 2, 5 }; Arrays.sort(arr); System.out.print(Arrays.toString(arr)); // [1, 2, 3,..
[TIL 항해 5일 차]
·
카테고리 없음
컴퓨터랑 일하는 건 엄청 멋있다. 누구랑 싸우지도 않고, 모든 것을 대신 기억해주고, 내 맥주를 뺏어 마시지도 않는다.(Paul Leary) ❓ 어제의 내가 궁금해한 것 다형성? 다형성(polymorphism)이란 부모-자식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가 동일한 메세지로 하위 클래스들을 서로 다르게 동작시키는 객체 지향 원리이다. 다형성을 활용하면 부모 클래스가 자식 클래스의 동작 방식을 알 수 없어도 오버라이딩을 통해 자식 클래스에 접근할 수 있다. 다형성(polymorphism)이란 하나의 객체가 여러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바에서는 이러한 다형성을 부모 클래스 타입의 참조 변수로 자식 클래스 타입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여 구현하고 있다. 다형성은 상속, ..
[TIL 항해 4일 차] 참조 타입
·
카테고리 없음
9시 전 급하지 않게 출석 완료! 컨디션, 텐션 유지하자. 아침만큼이라도 패턴화 된 시간을 보내자!!! 할 수 있다!!!!!!!!!! chapter5. 참조 타입 자바의 타입 자바의 타입은 크게 기본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분류된다. 기본 타입 :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리터럴을 정하는 타입을 칭한다. 참조 타입 : 객체(object)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으로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기본 타입과 참조 타입의 차이점 저장되는 값에 차이가 있다. 기본 타입은 변수에 실제 값을 저장하지만, 참조 타입은 변수에 메모리의 번지를 저장한다! 번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한다는 듯에서 참조 타입이라고 부른다. 메모리 사용영역 JVM은 운영체..
[TIL 항해 3일 차] 자바 코드 구성의 기초 & 정수 각 자리 수 구하기
·
카테고리 없음
백준 알고리즘 입문!!! "곱셈" 문제에 대하여 간단하면서도 어렵구나... 익숙하지 않다는 이야기!!! 친해지자 자바야! 일단! 자바 코드의 기초를 좀 짚고 넘어가자. 자바의 모든 프로그램은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java API에서 위를 유일한 엔트리 포인트로 정의했다. //엔트리 포인트가 뭐니?? //→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시작점을 의미한다. 함수로 시작한다. 왜일까?? 접근제어자는 public main 함수는 모든 실행프로그램의 기본이 되는 함수여야 한다. 기본이 되는 함수기 때문에 main 함수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없이 어디에서나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엔트리 포인트인 메인 메서드에 어느 곳에서든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해야한다.) priv..
[TIL 항해 3일 차]
·
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오전 기상 성공!! 내일은 꼭 9시 전에 자리에 앉아 보자!! 오전 10시 입학 시험 완료! 입학 시험을 보면서 궁금했던 것. 간단한 사칙 연산으로 구할 수 있는 데이터를 DB에 넣어야하나? DB가 점점 무거워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며, DB에 넣지 않고 사칙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나중에 매니저님한테 꼭 질문해야지. (질문완료!!) 웹 사이트 성능적인 측면에서는 프론트에서 사칙 연산 하는게 빠를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적인 측면에서 필요한 정보라면 DB를 통해 저장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정보를 DB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의 로컬에 넘겨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사용자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성능이 상이한 이슈가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어제 궁금했 던 것. 생성자와 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