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전 기상 성공!!
내일은 꼭 9시 전에 자리에 앉아 보자!!

오전 10시 입학 시험 완료!
입학 시험을 보면서 궁금했던 것.
간단한 사칙 연산으로 구할 수 있는 데이터를 DB에 넣어야하나?
DB가 점점 무거워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며, DB에 넣지 않고 사칙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나중에 매니저님한테 꼭 질문해야지.
(질문완료!!)
웹 사이트 성능적인 측면에서는 프론트에서 사칙 연산 하는게 빠를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적인 측면에서 필요한 정보라면 DB를 통해 저장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정보를 DB에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의 로컬에 넘겨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사용자마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성능이 상이한 이슈가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어제 궁금했 던 것.
생성자와 메소드의 차이?
메소드
자바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을 메소드라고 부른다.
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와 같은 것을 메소드라 볼 수 있다.
메소드 사용 목적
- 중복되는 코드의 반복을 피할 수 있다.
- 모듈화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 진다.
- 기능 변경이 필요할 때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생성자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될 때 객체의 초기화를 위해 실행되는 메소드이다.
생성자의 특징
- 생성자의 이름은 반드시 클래스 이름과 동일하게 작성해야 한다.
- 생성자는 여러개 작성(오버로딩)할 수 있다.
- 생성자는 new를 통해 객체를 생성할 때 한번만 호출된다.
- 생성자는 어떤 값도 리턴하지 않기 때문에 리턴 타입을 지정할 수 없다.
싱글톤 디자인 패턴이란?
객체의 인스턴스가 오직 1개만 생성되는 패턴을 의미한다.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 클래스(Class) vs 객체(Object)
클래스는 '설계도', 객체는 '설계도로 구현한 모든 대상'을 의미
- 객체(Object) vs 인스턴스(Instance)
클래스의 타입으로 선언되었을 때 객체라 부르고,
그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 사용될 때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객체는 현실 세계에 가깝고, 인스턴스는 소프트웨어 세계에 가깝다.
‘방금 인스턴스화하여 레퍼런스를 할당한’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말하지만,
이는 원본(추상적인 개념)으로부터 생성되었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일 뿐
엄격하게 객체와 인스턴스를 나누긴 어렵다.